잉카제국은 어떠했을까? 타완틴수유는 콜럼버스가 남미 지역을 발견하기 이전에 아메리카에서 가장 큰 제국이었다. 제국의 군주 칭호는 사파 잉카라 했는데 이 칭호가 현재까지 이어져 서양에서 잉카 제국(Inca Empire, Inka Empire)이라 불렀다. 잉가 제국의 군사, 행정, 정치를 담당했던 지역은 지금의 페루인 쿠스코라는 지역이다. 잉카 제국의 시초는 13세기 초 페루의 한 고원이며 본격적으로 꽃을 피워낸 건 1438년부터다. 이들은 꾸준히 영역을 확장하여 약 95년 동안 평화 조약과 무력 정복을 통해 다양한 방법으로 현재 남미의 국가인 남서 중앙 볼리비아, 북서 아르헨티나, 북 칠레, 에콰도르, 페루, 콜롬비아 남부 등 안데스 산맥을 주위로 넓게 확장된 남서 아메[리가 대륙을 합쳐 최고의 전성기를..
-마야문명이란? 마야 문명을 얘기하려면 크게 3가지를 알아야 한다. 후고전기, 고전기, 선고전기를 알아야 마야 문명의 대한 이해력이 높아진다. 선고전기는 기원전 약 2,000년부터 기원후 250년까지 이어져왔다. 일마르도르(El Mirador)라는 저지대의 대도시를 기준으로 이런저런 인프라가 생겨났다. 이때 우리가 아는 마야 문화의 기초가 다져졌으며 250년부터 9세기 정도까지 이어져 온 고전기는 칼라크물과 티칼 등의 패권국가들을 기준으로 여러 도시국가들이 혼잡하게 섞였다. 이때 고대 그리스와 같이 주변 도시국가들과 전쟁도 동맹을 하곤 했는데 이 사건들이 후에 찬란한 문화를 가질 수 있게 도와주는 매개체가 되었다. 이때 칼라크물, 티칼, 우슈말, 팔렌케와 우아삭툰, 코판 등의 거대한 도시들이 줄줄이 등장..
- 아즈텍 문명이란? 멕시코 일대에서 살았던 우토아즈텍어족 나와틀어계 종족들을 아즈텍이라고 한다. 아즈텍 제국과 구별을 하려면 '아즈텍 민족'과 '아즈텍인'을 구별해야 한다. 아즈텍 제국이 멸망하며 메시카족이 갖고있던 입지가 급격히 줄어들게 되었다. 황실 후손과 귀족등이 누아바에스파냐에서도 파라다이스의 삶과 같은 생활을 누렸는데, 일반 시민들은 스페인 사람들과 섞여 후에 메스티소 후손들이 생겨났다. 뉴멕시코, 애리조나, 북아메리카 ,텍사스 일대를 돌아다녔던 북방계 수렵채집민인 치치멘 족이 갈라지며 체노치티틀란이를 건설하며 멕시코 고원 모든 지역을 지배하는 왕국을 만들었다. 이때 시기는 13세기 경 멕시코에서 일어났다. 이 왕국은 본인들과 비슷한 도시국가들과 동맹을 맺었다고 하는데, 틀라코파와 텍스코코가 ..
-중앙아시아의 황허문명 황하 문명이라고 부르는 게 맞지만 황허 문명이라 부 느는 사람들도 많다. 두 개의 비슷한 이름을 갖고 있는 거다. 현재 중국의 황허 강 하류 지역에서 살았던 옛 문명을 통틀어 의미한다. 보통 서양인의 관점으로 보면 문자, 국가, 청동기 등이 있어야 문명이라고 취급하는데 황허 문명은 다른 중요한 문명인 인도와 오리엔트의 비해 늦은 기원전 2000년이 성립 기다. 그러나 청동기 등을 문명을 시작하는 중요요소로 본다면 금속을 다루는 기술이 없었던 아메리카 대륙의 문명 또한 문제점이 발생하여 이와 관련된 여러 가지 논란도 많다고 한다. 황허문명은 신석기시대에 있던 양사오 문화, 츨산 문화, 룽산 문화등을 거치며 주나라, 상나라 등의 금속 문명으로 발전했다. 선사 시대 시절 중국인들의 생활..
-인더스 문명이란? 인더스 문명(Indus civilization)은 또 다른 명칭이 있다. 인더스 계곡 문명 (Indus Valley Civilization)이라고 불리기도 한다. 청동기 시절 존재했던 문명이며 기원전 약 5,300년 전부터 3,7000년 전까지 존재했는데 이 문명의 최전성기는 약 4,6000년 ~ 3,900년 전 사이라고 전해진다. 현재 파키스탄의 북서쪽과 인도에 걸친 가가하크라강과 인더스강 걸친 곳에 자리 잡고 있었다 한다. 하라파 문명이라고 불리기도 하는데 이는 처음 발굴됐던 유적지가 하라파에 있었기 때문이다. 인더스문명은 비교적 최근에 알려지게 된 문명이다. 인도의 경전 속 인더스 문명이란 고대문명과 관련된 글이 암시되어 있었으나 학자들에게 무시당했다 한다. 하지만 인더스문명은 ..
- 메소포타미아 문명이란? 메소포타미아 문명, 학창 시절에 교육을 들어봤다면 누구나 한번 정도 들어봤을 이름이다. 이 문명을 모른다면 초등학교부터 다시 학교 다니는 게 맞다고 볼 정도로 중요한 문명이다. 오늘은 이 메소포타미아 문명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도록 하겠다. 이 문명은 기원전 4세기 후반 알렉산드로스 대왕 시대부터 이어져 온 지리학, 역사, 고고학적 명칭으로 사용되기 시작했다. 중동에 위치한 티그리스 강과, 유프라테스 강의 주변 지역에 위치했던 문명이다. 현재는 중동의 나라 이라크가 이 자리를 차지하고 있으며 어원은 고대 그리스에서 유래된다. 메소는 중간이라는 뜻을 가졌으며 포타는 강이라는 뜻을 미아는 도시를 나타낸다 한다. 이 글자를 모두 합치면 '두 강 사이에 있는 도시'라는 뜻이 되는데 이 ..
- 이집트의 지리 고대 이집트 문명은 크게 두 가지로 나눌 수 있다. 하이집트와 상이집트로 구분 지을 수 있는데, 이집트의 인구는 대부분 나일강 주변으로 분포했었다. 나일강은 나카다 문화와 석기시대부터 이어져온 이집트 문화의 숨결과도 같다. 이집트는 북아프리카에 위치했다. 바다는 홍해와 지중해가 있다. 인접 국가는 남쪽으로는 수단, 서쪽으로는 리비아가 있는데 동쪽으로는 이스라엘과 가자 지방을 마주 보고 있다. -이집트의 환경 에티오피아의 고원에서부터 이어져 내려오는 거대한 물줄기가 갈라져 내려오고 있다. 이것이 이집트의 생명들을 담당하는 나일 계곡이다. 대부분 건조하며 비가 내리지 않은 기후를 형성한다. 이 일대는 식물이 전혀 자라리 않으며 물을 찾기 위해선 가끔씩 생겨나는 오아시스를 사용해야 한다. -..